To explore new physics phenomena of low dimensional material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wo-dimensional layered structures
Total : 45 / Today : 0
체온으로 웨어러블 충전…韓, '열전소재'로 선진국 제쳐 국내 연구진, 열을 전기로 재활용하는 '열전소재' 성능 기존대비 2배 향상(서울=뉴스1) 맹하경 기자 |2015.04.03 03:00:00 송고 국내 연구진이 열을 전기로 바꿔주는 '열전소재'를 기존 선진국 성능...
나뭇잎 구조로 초소형 전기 저장장치 성능높였다- 리튬이온전지 대비 출력밀도 1만 배 이상 개선 기초과학연구원(IBS, 원장 김두철)의 나노구조물리연구단(단장 이영희)이 휴대전화 등 휴대용 초소형 전자기기에 활용할수 있는 고성능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(micro-supercapac...
차세대 반도체 소재 합성 기술 개발- 이황화몰리브데늄 그래핀처럼 단일층화, 반도체 특성 지녀 응용 기대 -기초과학연구원(IBS, 원장김두철) 나노구조물리연구단(단장 이영희, 성균관대물리학과 교수) 연구팀이 이황화몰리브데늄을 원하는 위치에단일층으로 합성하는 ...
리튬이온 대체할 고성능 슈퍼커패시터기술 개발- 탄소나노튜브와 그래핀 입체구조로 에너지밀도·출력 극대화 - □ 미래창조과학부(장관 최양희)소속 기초과학연구원(IBS, 원장 김두철)의 나노구조물리연구단(단장 이영희)이 리튬이온전지와 비슷한 에너지밀도를 유지하...
3차원 구조인 철 원자 배열 2차원으로 변환 구현..."3차원보다 크게 물성 향상"사이언스지 게재 기초과학연구원(IBS) 연구진이 그래핀을 활용해 3차원으로만 존재가 가능한 철 원자 배열을 2차원 구조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. 마크 러멜리 IBS 그룹리더미래...
종이처럼 쌓아 만드는 나노 태양전지 첫 개발유우종교수팀 논문‘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’게재기존 전지보다 양자효율 50배 이상 높아져고성능 그래핀 기반 태양전지 상업화에 크게 기여할 듯국내 연구진이 미국 연구진과 함께 종이와 같은 평면형 나노물질인 그래...
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·나노구조물리연구단 유우종 교수. © News1 (서울=뉴스1) 박상재 인턴기자 = 국내 연구진이 평면형 나노물질을 쌓아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.성균관대학교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전자전기공학부·나노구조물리연구단 ...
[사진제공=교육과학기술부] [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]주름진 산화막이 깨지지 않고 최대 20%까지 늘려도 작동할 수 있는 전자소자가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. 휘어지고 접을 수 있는 전자소자를 넘어 옷처럼 늘어나는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 나노 물질을 이용한 연구가...
(서울=뉴스1) 노현승 기자= 성균관대학교(총장 김준영)와 기초과학연구원(IBS, 원장 오세정)은 7일 오전 11시30분 성균관대 총장실에서 IBS 외부연구단 운영지원 협을 체결했다.성균관대와 기초과학연구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△'나노구조물리연구단'의 인력 구성...
1 2 3 4